Filter by 카테고리

한국은행이 분석한 출산율 상승 방법

()

이미지 텍스트 확인

(1)41. 우리나라의 출산 여건(회귀식 설명변수)이 모두 OECD 34개국 평균 수준으로 개선될 경우(단, 실질주택가격의 경우 2015년 수준으로 회귀한다고 가정) 합계출산율이 0.85 만큼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3). 이는 각종 여건이 개선된다면 2022년 현재 0.78 에 불과한 우리나라 출산율이 산술적으로는 OECD 평균 수준으로 상승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동 시나리오에는 도시인구집중도(+0.41),혼외출산비중(+0.16) 등 단기간에 변화되기 어려운 변수에 의한 효과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석에 유의해야 한다.
(2)정책·제도 여건과 경제·사회·문화 여건이 개선된다면 출산율도 높아질 수 있음[표 5.3] 정책 시나리오 분석
(3)[출산을 변화]
(4)한국의 가족 관련 정부지출(1.4%)이 OECD 34개국 평균 수준(2.2%)으로 증가Scenario #2
(5)한국의 육아휴직 실이용기간(10.3주)이 OECD 34개국 평균(61.4주)으로 증가(법정 가능기간 52주 X 이용률 19.8%) (69.4 × 88.4%)
(6)한국의 청년층 고용률(15-39세, 58.0%)이 OECD 34개국 평균 수준(66.6%)으로 증가Scenario #4
(7)한국의 도시인구집중도(431.9)가 OECD 34개국 평균 수준(95.3)으로 하락(인구밀도 530.4 × 도시인구비중 81.4%)
(8)한국의 흔외출산비중(2.3%)이 OECD 34개국 평균 수준(43%)으로 상승Scenario #6
(9)한국의 실질주택가격지수(104)가 2015년 수준(100)으로 하락
(10)Scenario #1-6이 모두 달성되는 경우
(11)주: 1) () 내는 2019년 기준 우리나라 및 OECD 수치(본 모형은 설명변수 변화시 2년 후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침)2) 출산율 변화는 기준모형 추정계수 x (표준화된 OECD 평균 값-한국 값)’ 으로 산출

1. (여성 관련 지출 제외) 가족 관련 정부지출을 현행 1.4%→2.2%(OECD 평균수준)로 확대시 예상 출산율 +0.055

2. 육아휴직 실이용기간을 현재 10.3주→61.4주(OECD 평균수준)로 확대시 예상 출산율 +0.096

3. 청년(만 15~39세) 고용률을 현재 58.0%→66.6%(OECD 평균수준)로 증가시 예상 출산율 +0.119

4. 한국의 도시인구집중도(국가 인구밀도*도시화율)가 현재 431.9(530.4*81.4%)에서 95.3(122.6*77.7%, OECD 평균수준)으로 하락시 예상 출산율 +0.414

5. 한국의 혼외출산비율이 현재 2.3%에서 43%(OECD 평균수준)로 증가시 예상 출산율 +0.159

6. 한국의 실질주택가격지수(104)가 2015년 수준(100)으로 하락시 예상 출산율 +0.002

1~6 모두 달성시 예상 출산율 +0.845

이 게시물은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별을 클릭하여 등급을 매깁니다!

평균 평점 / 5. 투표 수:

지금까지 투표가 없습니다! 이 게시물을 평가하는 첫 번째 사람이 되세요.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