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텍스트 확인
Q 제목이 ‘소녀소설이 아니라
‘소여소설’인 이유는?
‘소녀’라는 단에이미지가
특히 서브걸처에서 남성 권력에
너무 오염되어 있지 않나 하는
문제의식 때문이에요
이미지 텍스트 확인
‘소녀논 여자 이전의 어떤 신비로운 생물이 아니라
그냥 태어나는 그 순간부터
‘여자로서의 인생올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그래서 단지 ‘작은 여자’란 느낌으로
‘소여’라는 제목올 지어밟어요
이미지 텍스트 확인
로맨스물에서 남자 히로인 이야기틀
안 할 수가 없올 팀데요
하로인(Heroine)은 본래 Hero(영웅의 여성형 단어이지만
한국에서 ‘히로인’은 주로 도구화된 여성 캐릭터지 지청합니다.
하여 (수의책설)에서만은 소위 ‘남주(인공)’ 틀 ‘남자 히로인’으로 표기합니다.
이미지 텍스트 확인
이렇다보니 2021년의 상업 장르문학에서
‘여주인공 판타지논 설 긋이 마땅치 않습니다
남성독자들은
여자독자들은
능력있는 여자에 대한
상업 여성향의 규격에
경계심이 강해적고
너무 익숙해저 있으니까요
우리 여주
권력남한데
이쁨받아래]
까
판타진데
왜 여주인공임?
난표지에 여개 나오면
절대로영웅이}
강안 화국
텍수없는포츠선
이미지 텍스트 확인
또여러가지이유로소개하지못 하눈 책들이 많아
매번아쉽기도 햇어요
여주인공이지만 작가가 남성이거나
ex)
마렬다 나별씨, 인형의집 etG .
S:
장르적 접근성이 애매하거나
eX) 주로 폐미니좀 SF
너무 훌륭한데 너무 로맨스 중심이거나
ex)
제인 오스린
고제계 백인문학에만지운최다는컷도취명적이없고요
달콩
라실계와 흑인 주인공 1명씩 외엔 다 백인
씹싸름한
컬러
소홀컷
꺼풀
에Do
X 한국문학은 기획 단계에서 제외
내가 뭐
이미지 텍스트 확인
Q ‘여성소설’이관 건 뭐조?
(소여소설 예선 이렇게 정의합니다.
여성작가에 의해 씌여적고
(2) 여주인공이 ‘주체’이미
(3) 남성중심사회틀 살아가는
여성의 현실에 대한
자각이 있는 작품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