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텍스트 확인
세
A
‘Ks
다
8
쇼
W
{
화
F
A
닭 # # 벼 목 # 못 숲 1 숲
Iii 넷’#밤 키 f
L 터
25F
[pj 떼;
301
12터
숫<다면
12터
1967 4
1967-
편V
# # #
% 커
@V
비밀임
[급
: M f논
이미지 텍스트 확인
1967년에 쓰여진 ‘주월한국군전사 제 1권’에는
건국 이래 최초로 휴전 12년 만에 첫 해외파병에
나서야 햇던 한국군의 고민이 적혀있음.
국군에게 남베트남이라는 미지의 전장 환경은
듣도보도 못한 것이없고 가난한 한국으로 들어오는
정보도 극히 부족햇음.
한국군은 선배들의 실전 경험올 모두 모아 전수하기로 햇고
6.25, 발치산, 대간철작전올 겪은 인원들올 모아 머리지 맞댐.
아래 내용은 실제로 ‘오음리 파월교육대’ 에서 교육된 내용들
중 일부임.
이미지 텍스트 확인
이미지 텍스트 확인
비정규전에서 정규전 교리논 통하지 안듣다. 비정규전은
화력과 화력이 겨루는 선과 선의 대결이 아니라 점과 점의
대결이다:
게길라전에서는 소부대 전술,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
생각보다 강력한 화력지원올 받을 기회, 횟수는 많지 않다.
한국의 산야보다도 무성하다는 월남의 정글에서논 더 그럴 것
이다:
소규모 전투 우발적으로 시작되는 전투가 많다. 적과 매우 가
깝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위릎 담보하는 것은 장병들의 체력 근력이
다:
기도비넉(은임-)틀 장시간 유지하는 능력 신속한 이동 모두
체력에서 나혼다.
먼저 지치면 죽는다.
수통올 최대한 많이 지참할 것. 월남은 열대기우라 한국의 한
여름 날씨에 전투름 치루야 한다: 수색 정찰을 나가는 인원들은
여분의 수통올 반드시 확보하고 작전에 나설 것. 굶는 것보다도
무서운 것이 식수이다. 물이 부족한 부대는 적올 찾는것이 아
니라 물올 찾아 헤메다 (매복에 걸려) 죽는다.
발 관리에 만전올 기해야 한다. 지난 전쟁 (6.25) 때나 빨치산
토벌때에나 발의 상처가 썩어들어가거나 해서 다리블 절단 사
레들도 있으니 습한 환경에서논 꼭 양말올 두세번씩 갈아신고
발울 잘 말려주야 한다.
(위의 내용에 이어서) 실제 전쟁터에서 사소한 규정에 읽매이
지 말고 병력 손실올 방지하기 위해 어떠한 것이라도 하라.
이동 시 흔적올 남기지 마라. 특히 취사 흔적 배설물 등
뒷처리틀 말단 병사들까지 숙지할 수 있도록 상시 교육하라.
병기(총기)와 더 친해저야 한다. 적과 교전하다 총기고장
(기능고장)이 발생하여 우물주물하면 죽는다. 생각보다 총은
완벽한 기계가 아니다 총기고장 시 조치요령올 손이 먼저 나갈
때까지 숙달하다.
이미지 텍스트 확인
‘참다
큰애기
이미지 텍스트 확인
싫.;다 꾸방각진 j 온너니다
기념사영 (67.
이미지 텍스트 확인
이미지 텍스트 확인
맨
호
환이겨적물화외송
#?부인 기부 사시지부
이미지 텍스트 확인
이미지 텍스트 확인
‘중부보
이미지 텍스트 확인
이미지 텍스트 확인
OT0요
00 ‘3
이미지 텍스트 확인
이미지 텍스트 확인
떡로23언내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