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이 훈민정음에 숨겨놓은 이스터에그

ㄱ君 ㄲ虯 ㅋ快 ㆁ業, ㄷ斗 ㄸ覃 ㅌ呑 ㄴ那 ㅂ彆 ㅃ步 ㅍ漂 ㅁ彌

ㅈ即 ㅉ慈 ㅊ侵 ㅅ戌 ㅆ邪 ㆆ挹 ㅎ虛 ㆅ洪 ㅇ欲, ㄹ閭 ㅿ穰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한글 자음 발음을 설명하기 위해 위와 같이 자음 옆에 한자의 예시가 적혀있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에 숨겨놓은 이스터에그
그런데 그중 ‘ㄱㄲㅋㅇ’의 음을 설명하는 한자의 예시로 위에 표시한 君虯快業(군규쾌업)이 있다.

군(君) : 임금 군

규(虯) : 아기용 규

쾌(快) : 즐거울 쾌

업(業) : 일 업

즉, 임금과 아기 용(문종)이 즐겁게 일을 하다는 뜻이 된다.

※ 당시에 虯(아기용 규)의 발음은 ‘뀨’였다.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