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이 가장 세종답지 못했던 순간

세종대왕이 가장 세종답지 못했던 순간

이미지 텍스트 확인

(1)바로 훈민정음 창제 후, 반포 까지의 싸움
(2)온 나라의 관리며 사대부들이 벌때 같이 들고 일어나반대하는데
(3)사실 세종은 원래 신하들과 정책을 논할 때 굉장히논리로 대하고 학문적 탐구와 토론을 즐겼던 군주로
(4)왕의 권위로 찍어 누르거나 신하들을 위협한 사례는거의 찾아볼 수 없음.
(5)그러나…
(6)은 이 그곳
(7)빅급 라는
(8)”좀 ㅇㅍ
(9)정체 듕1
(10)결국 나란히라 징는哲
(11)지라넣는말
(12)징라흠 박지
(13)나 ‘아론
(14)라
(15)랏리 모 씨
(16)훈민정음에 반대하는 것에는 동원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동원해서 찍어누름
(17)”너희들이 설총은 옳다 하면서 군상(君上)의 하는 일
(18)은 그르다 하는 것은 무엇이냐.”
(19)왕의 권위를 무시하는 것이냐고 권위에 호소하고
(20)”네가 운서(韻書)를 아느냐. 사성 칠음(四聲七音)에
(21)자모(字母)가 몇이나 있느냐. 만일 내가 그 운서를 바로잡지 아니하면 누가 이를 바로잡을 것이냐.”
(22)니들이 뭘 안다고 왈가왈부냐, 나보다 잘났냐 시전도
(23)”전번에 김문(金汝)이 아뢰기를, ‘언문을 제작함에 불
(24)가할 것없습니다. 하였는데, 지금은 도리어 불가은
(25)하다 하고”
(26)옛날 말 끄집어내서 꼬투리 잡고
(27)”드디어 부제학(최만리(崔萬理)·직제학(直提副提學)
(28)敎) 정창손(鄭昌孫)·부교리(하위지(河緯之)·부副校理)
(29)수찬(副修송撰)처검(저작랑(著作郞) 조근宋處儉),
(30)(趙瑾)의을내렸다가 이튿날 석방하라 명하였금부에
(31)는데오직 정창손만은 파직(罷職)시키고, 인하여 의,
(32)금부전에지하기를,
(33)”김문이 앞뒤에 말을 변하여 계달한 사유를 국문(鞫
(34)問)하아여뢰라.”
(35)반대하는 신하들 의금부에 하옥하고, 일부는 파직에
(36)국문까함지
(37)평생을 논리 싸움과 설득으로 살아왕이지만온
(38)절대 설득하지못할하지만 꼭 필요한 일에 그동안,
(39)아껴왔모던든수단을동원해신반대를 찍어들의
(40)버반포함리고
(41)안그러세종던이정도 까지 하니까이
(42)신하들도 세종 아빠가누구였는기억나서
(43)이 건으로 한 번만 더 개기면 좆되겠다 싶어 다 닥침

!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