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뼈나 갑각류의 갑각을 갑옷으로 쓰지 않는 이유

동물뼈나 갑각류의 갑각을 갑옷으로 쓰지 않는 이유

이미지 텍스트 확인

(1)장르소설 정보/칼럼 동물뼈나 갑각류의 갑각을 갑옷으로
(2)쓰지 않는 이유
(3)꼴뚜기남작스
(4)추천 250 | 비추천 1 댓글 80 | 조회수 7470
(5)작성일 2023-03-09 01:50:44
(6)수정일 2023-03-09 02:16:08
(7)어떤 장붕이가 이리 묻더라.
(8)왜 판타지에서는 뼈로 갑옷을 만들지 않을까?
(9)판타지에서는 초대형 동물이 많으니, 금속보다 단단한 뼈를
(10)대량으로 가진 동물도 많지 않을까?
(11)존나 합리적인 생각이긴 하다.
(12)크다는 곧 많은 하중이 가해진다는 것이고, 당연히 단단한 뼈를 가지고 있겠지.
(13)거기다 그 큰 몸을 지탱하려면 그런 뼈를 많이 가지고 있겠지.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자 이 글을 쓴다.
(14)우선 뼈에 대해 알아보자.
(15)뼈는 자연계에서 구할 수 있는 소재 중 중량 대비 가장 견고한소재 중 하나이다.
(16)칼슘을 비롯한 무기질과 단백질, 물등 여러 물질로 구성된 뼈는 단단하지만 탄성이 부족한 무기질을 콜라겐 등 유연하지만충격에 강한 유기질이 마치 철근콘크리트처럼 서로 보완해 주
(17)기 때문에 가공할 내구성을 가진다.
(18)뼈의 구조
(19)엄청나게 복잡한 구조를 가졌어요 그래서 무거운 무게도 잘
(20)하는데요양분을 장
(21)구나 백혈구중요한는
(22)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조를 자세히
(23)있다면 이렇게 약
(24)그뿐이랴? 뼈는 극도로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겉에는 섬유구조를 띠는 밀도높고 단단한 치밀뼈가 뼈를 단단하게 지탱하고, 그 내부에 버블 콘크리트나 스펀지처럼 구멍이 뚫린 구조의 해면뼈가 중격을 흡수하고 중량을 줄이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25)동물의 뼈는 이런 극도로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같은 중량의 나무나 암석은 물론이오, 심지어 철보다 견고하다.사람을 기준으로, 달릴 때 체중의 5배에 달하는 충격이 가해지는데, 뼈는 이러한 충격을 매일같이 견뎌도 전혀 이상이 없다.
(26)특히 인체에서 가장 견고한 구조물인 다리뼈는 무려 수직으로오는 25t의 충격을 견딜 수 있다.
(27)자연은 물론이요, 왠만한 현대의 소재보다도 견고한 소재인
(28)그런데, 이 개쩌는 소재를 왜 갑옷으로 사용하지 않았는가?
(29)결론부말하자면, 썼는데 도태되었다.터
(30)이 갑옷보라, 이을기원전 20세기 중반, 러시아 옴스크에서건
(31)발굴청동된기뼈갑옷대의유물의 복제품이다.
(32)철이 없던시대에분명 가벼우면서 탄성도 좋고, 강도도 상는
(33)당한뼈갑는좋은옷만들기소재였으리라.
(34)그런데철이 등장한 시대에도,쓸모가 있지 않았을까?
(35)위에서 언급했듯철이,보중량대비 내구성이 더 뛰어나니다
(36)분명경보병에게 좋은 방어구가 되었을 것이다.
(37)정답은 아니요이다.
(38)아주 쓸모없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만들 가치가 없었다.가
(39)우선,어를떻구게할까?
(40)당연히 동물죽여 얻어야 한다.을
(41)사람체중의 20% 뼈라고 하가다른 동물도 사람과 동일는데,
(42)하다가정고7하고,0kg짜염소리잡았다 가정을 하자.를
(43)수 있을1러면4kg의를그얻을
(44)러나통먹어본 사람은 다들 알겠지만, 소재로 쓸 수 있닭을
(45)을 만큼 크견고고뼈는극히일부다.
(46)그렇기쓸 수 있에는소재다리뼈로 한정될 것이다.는
(47)이렇게얻은이 다리뼈는 어
(48)깎아서 가한다공해야
(49)손이존나것는말할 것은없고, 당연히 절삭 과정에서도
(50)대량의 뼈떨어가나가져사용되니,양는극히 일부일거고,
(51)위에서언복합적인구조다 잘려나도내구성매우이
(52)감소할 것이다.
(53)뼈의 최고장점이 가루가 되어 바닥을 나뒹구는 것이다.
(54)자이,렇게뼈 갑옷완성했다.을
(55)어찌되었던여전가히견고하다.볍고
(56)누군가휘두른강철검이나도끼한 두방은 분명 막아주겠
(57)문제는 그 다음이다.
(58)뼈는 분명가볍고견고한 소재이다.
(59)그러나, 썩는 주고물을재에잘 흡수해서 습한 환경에서는 손상
(60)산에 약하다그리고 열에 노이 빠르
(61)출되균열이 생기거나 탈 수도 있을 정도로면
(62)하다약
(63)이 뿐이랴경도?낮아 잘 마모된다가뭉텅이로쉽게 말해, 누가 휘두른.
(64)칼에 스치만해도깎여수명가서내구과확성이
(65)줄어든다는 것이다.
(66)이토록빨리소모수리하되는데,썩 좋기는못하다.지
(67)왜철처냐하면녹일 수도럼없주위에서 말했듯이 재재에
(68)료그도흔한 것이 아리니다.
(69)반면 철은 어떠한가?
(70)열에 강썩지않는 것은 말할 것없고철은 기름만 발,
(71)라주면 가비 정도벼운견는뎌강철쯤 되주고,스테인리스면통으 써로
(72)처럼 백년 관리없을무리없는 수다가 내강이산계에속노출되술는
(73)준까아니지만,지는잘 녹슬지 않 는다
(74)거식성강한 물질로 도금하거나, 일반적인 산화철이
(75)떨어져 나럼것아닌, 산화되이면표면을 검게 코팅서방시킬 법 많은
(76)하는 사산코팅하여 내식성을 더 강화삼철로화
(77)높경도와 강도은인한로내마성과방덤이다.어력은
(78)큰 충격을 받으면 부서지리고뼈와 달리, 철는흡수하여 파열 피할 수을재활여서찌그러지은
(79)대신충격,있
(80)마지손상되면막으로녹용되하면니수리나 대량생,
(81)산에도더 용다.
(82)처철보럼중다량대비내구성이 뛰어나며 내식성도 강한 알
(83)루철을 대체하지 못한 것미늄이강도으며,다는유가
(84)열약했에와경도가낮아포탄을튕겨내지 못했기
(85)때문
(86)이유사하다니, 기가 막힌 우연이 아닐 수 없다.토록
(87)하지만, 가볍고 견고하다는 장점은 철이 가지지 못한 장점이
(88)특수전용이라면 분명 써먹을 수 있지 않을까?
(89)다,
(90)왜냐하면 그 가볍고 단방법으 만들 수로있 기특수전용 갑옷은 뼈 말고도 다른단한
(91)때문

동물뼈나 갑각류의 갑각을 갑옷으로 쓰지 않는 이유

이미지 텍스트 확인

(1)가죽은 열을 가하면 단단해진다.
(2)그래서 가죽제품은 열을 피하라고 하는데, 반대로 생각하면
(3)단단한 가죽을 만들 수 있다는 소리다.
(4)보일드 레더 아머라는 이름에 걸맞게, 중세 유럽에서는 가볍고 단단한 갑옷을 만들기 위해 가죽을 끓는 파라핀을 섞은 물에 삶아 단단하게 만들었다.
(5)동양에서는 옻칠을 해서 가죽을 단단하게 만들었다.
(6)썩 만들기 쉽고 싼 방법은 아니다만, 뼈갑옷보단 내열성과 내식성이 강하고, 재료도 구하기 더 편했다.
(7)리리리리리리
(8)고대 그리스는 한술 더 떠서, 리넨 천을 단단하게 굳혀서 갑
(9)옷을 만들었다.
(10)그러나, 리넨 갑옷은 무겁고 썩으며, 방어력도 시원치 않다는단점이 있어서 위에서 말한 보일드 레더 아머와 철갑에 도태되었다.
(11)뼈의 전유물인 가볍고 단단하다는 장점조차 다른 소재로 대체할 수 있다는거다.
(12)거기다가 가벼운 갑옷을 원하면 갬비슨하고 투구만 쓰거나,
(13)얇은 철을 사용하는 등 뼈를 이용하지 않고도 방법은 많았다.
(14)하지만, 판타지에는 큰 동물들이 많다.
(15)이 동물들은 현생 동물보다 더 단단한 뼈를 가지고 있지 않을까?
(16)물론 그런 동물은 있을 수 있다.
(17)여기 이 군부라는 작은 동물은, 조개나 달팽이처럼 연체동물
(18)에 속하는 달팽이처럼 생긴 동물인데, 몇몇 종은 철분이 풍부
(19)한 매우 견고이한빨가지고 있다.을
(20)이들의 이빨은 자연계에서도 손꼽히도록 강한 구조물이다.
(21)아니면골밀도를 더 높일 수도 있겠지.
(22)하지만,이는 한계가 있다. 우선 철은 소화흡수가 어렵고, 생명
(23)체가이용힘들다.기도
(24)당장사람도 겨우몇 mg의 철 때문에 빈혈이 오고 죽을 수도
(25)있지 않은가?
(26)그렇다면,골밀도를높이면 어떨까?
(27)우리는시이미안다.
(28)바로 치아다.
(29)치아매우 밀도높은 뼈로,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구조물이는
(30)하지만치아는,거리가 먼 구조물이다.고하다와는
(31)상당히쉽게부러지며,심급온한균열이 생도변화에
(32)길 수있다.
(33)왜냐하면 단단하지만, 탄성이 부족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없
(34)기때문이다.
(35)그리고 모든 뼈가밀도가 높다면 매우 무거워저 몸빨처럼
(36)을 움어려직이기것이다.울
(37)그러니무턱대고밀도높일 수는 없는 것이다.
(38)그래서 대형 동물들은 무턱대뼈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아고
(39)닌,효율적인구조로중을견디것는이다.
(40)예를들코어,리의발젤탄성이 강한 물질이 있리처럼
(41)어서 하충격을 흡과수해준다.
(42)이 구조물덕코에끼거대리는중량을 견딜 수 있으며, 대륙한
(43)을 무리없이 횡단할
(44)그리고코뿔소이렇게 다리뼈에 구멍이 있어서 하중과 충격는
(45)을 분산시켜준다
(46)이러한골구조 덕에 코뿔격뿔을고2t는달하는 육중한 몸을 가에
(47)지고도민첩움게직앞돌진할 수 있다.세워
(48)리고래는지방질이 가득한 뼈를 가져, 부력을 받으면서
(49)충격완을화시킨다.
(50)그런 효율골격을 가졌기에 향유고래적인포경선을 들이박가우는
(51)아격침수 있시킬었고고래들이 서로 들,이박으면서싸
(52)물론 이런 거대한물들뼈의람뼈가식뼈보조의
(53)다견고다른듯이,동물뼈보의견고단
(54)하지만, 그럼에도근구본적인큰 차이가 없으며는는 없 다이 뼈를,
(55)얻겠이 고귀한 포유류들을 도다고살할치것이
(56)떨까?렇다면절동물은
(57)갑옷처골격으로 몸을 두른 절지동물의 외피는 뛰어난 천연
(58)갑옷이지 않평까?
(59)넓고 구조 덕참신하고 멋나생진만든 민을평갑옷으로 가공하기 도각 이 하지만,긴 역사에 절서하 나 도 없 다좋것이다.을지 동 물 의
(60)존
(61)외갑옷피로단족은
(62)럴까?왜
(63)우선 절지동물은 게 좆만하다.
(64)당장 육지에서 사는 가장 큰 절지동물인 야자집게가 겨우 17
(65)kg
(66)전설적인 용사가 갑옷을 만들 위해 전설로만기내려오는 위대이 다 .
(67)한 야자집게를 잡아봐야 겨우 투구 하나 만든다 는아마, 용사의 갑옷 하 나 갖를 추 섬 하나에 있는 야자집게면시 켜 야 가 능 하
(68)려
(69)라.몰살
(70)그렇다면 바다는 어떨까? 드넓 바다에는 거대한 절지동물은기다 고 있 지 않 을
(71)류까
(72)그 전설바이일본 심해에서 기다리고 있으
(73)나, 이 새끼들도 겨우 19kg이다.
(74)이 놈한 마리 잡아봐야도투구하나 겨우 만들 정도라는 것이
(75)왜 절지동물은 이리걸어은 다 니좆할?
(76)생긴것탱크마냥 육중해 보이는 동물들이 말이는
(77)그 이유는 이들의 호흡계가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78)의호흡계는개방순계 구조를 띠는데, 이건 생물학 학하겠다.
(79)부준설명은 생이니존나 원략
(80)냥비고구인라알만둬라.
(81)이쨌든비효율적이고 원시적인 구조의 호흡기를 가졌기런적으 흡수 할 수 없 기 때 문 에 이들은
(82)에대산의과
(83)작은 것이다.
(84)지구석산소가 극단적으로 풍부한 환탄기처럼아이라면,
(85)스거대 절지동물도 생존할 수 있었을 것이트로플레우라처럼
(86)다굳 이이,가진 절지
(87)런극단환경가정않패도, 순환계상관 은 없겠 다.쇄
(88)진했가정해도
(89)당장 하등지렁이도 패쇄순환계를 가졌으니.해보이는
(90)문제런데,다는이런 거대 절지동물이 거대 척삭동물을 이길
(91)수없게제
(92)애 외골격 자초에내골격에 비해 크기가 커지기체가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이다.외 골격은 작 다면, 부 피 에 비해커서냐면
(93)면근당육량내보
(94)더유커진다면 역하지만,비효율적으로 변한전되어
(95)자세한건만화라.진화 – 만화로 배 우 는~ 외골격은 절지동물의…점참고
(96)배화로곤는충곤충의 진화 ~8| Facebook
(97)부 외골단격의
(98)이런 이유 때문에, 거대한 절지동물은 세상에 존재하쨌든않을 것이머금물을 고 현실 적 인무장하기 위해서는해 야며, 군대 무장를위해서는 아예 종을 멸종시켜야 할지키기모른다.세
(99)눈타협즈로쳐도, 용사파티것 이
(100)체군통사냥
(101)마계를용사19세많멸종
(102)시킨 탐험후손들에게 영원한 원망을 들어야 하겠지.가들처럼
(103)결한 절 지 동 물 을 못보는 것은 나중 일고, 일 단 용 사 파 티 무장시켰다고 치자.를데 문제는 키틴도 뼈,다 막 그렇게 단단한 물질이 아니라는 것이다.어쨌후든,이손들이
(104)오히려 뼈보다 약하다.그래봐야 셀룰단하겠는가?귀 한 생 영명을 원 끝히 장 냈뼈보다 나을게 없는 물건인 것이다.
(105)다당류인데 단단해봐야 얼마나 단오스처럼
(106)껏보상은 위에서 말한건만,
(107)결론만들어지지 않은 물건은 다 합당한 이유가나있다는 것이다.우 쓰리가 레 물기같은은 비웃었던 것 뿐이다.예 나 지금이 나 금 속 은 소재의 왕이고, 이는 변치 않으리라.태거
(108)비웃듯이, 선조들도 쓸모없는 물건건은

!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