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메이징 요즘 컴퓨터 근황.jpg

어메이징 요즘 컴퓨터 근황.jpg

이미지 텍스트 확인

(1)버섯으로 구동되는 ‘살아있는’ PC 랩 데모
(2)★ QM지름 | ◆ 32
(3)Mushroom 마더보드 (이미지 제공: Andrew Adamatzky)
(4)University of the West of England (UWE Bristol)의 Unconventional Computing Laboratory(UCL)는 Popular Science(새 탭에서 열림)에 머쉬룸 마더보드를 선보였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Andrew Adamatzk 교수가 이끄는 이 연구소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개념을 생명체에 적용하는 개념인 웻웨어와 같은 컴퓨팅에 대한 기이한 접근방식에 중점을 둡니다.
(5)균류는 균사체, 실 크기의 매우 가는 균사를 사용하여 땅 밑의 루트 네트워크 (때때로 “우드와이드 웹”이라고 함)에 연결합니다. 곰팡이 마더보드는 균사체를 도체 및 프로세서나메모리와 같은 다른 전자부품의 대체물로 사용합니다. 이전 연구(새 탭에서 열림)에서 Adamatzky는 버섯이 균사체를 통해 전기 신호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균사체는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고 기억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6)인간두뇌의 뉴런은 의사소통을 위해 스파이킹 활동을 활용하며 Adamatzky의 조사는 균사체가 유사한 모델을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결과적으로 과학자들은 기존 컴퓨터가 사용하는 이진 언어와 유사하게 스파이크의 존재 여부를 0 또는 1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Adamatzky는 연구자들이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 개의 개별지점에서 균사체를 자극하면 통신의 속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과정은 뇌가 습관을 만드는 것과 비슷한 기억력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균사체로 회로 만드는거 나옴 ㅋㅋ

최소 전력소모로 에너지 효율 갑

PS) 예시이미지는 그냥 보드에 버섯난 어그로용 이미지라고

어메이징 요즘 컴퓨터 근황.jpg
이미지 텍스트 확인

(1)실제는 이런 겁니다.
(2)버섯의 균사체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대신하는 연구입니다. 균사체는 전기 신호를 보내 서로 통신하고,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3)균사체는 결함이 생긴 부위를 스스로 복구하고 성장할 수 있으며 전력 사용량이매우 낮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균사체를 써서 기본적인 논리 회로와 전자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는 걸 제시했습니다.

실제 이미지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