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삼일절을 ”기뻐해야”하는 이유

우리가 삼일절을 ''기뻐해야''하는 이유

이미지 텍스트 확인

(1)우리가 삼일절을 ‘기뻐해야’ 하는 이유
(2)무단배포 및 전재 적극 환영(세줄요약은 맨 밑에 있음)
(3)간혹 삼일절에 ‘조기’ 를 다는 것으로
(4)잘못 아는 사람들이 있어서 뒷목을 잡게 하지만
(5)우리나라 국경일
(6)7월 17일
(7)공휴일지정공휴일제외
(8)8월 15일10월 03일
(9)10월 09일
(10)삼일절은 엄연히 ‘5대 국경일’ 에 속하는
(11)나라의 기쁜 날이고 경사스러운 명절임
(12)그렇게 많은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이 있었는데
(13)삼일절이 ‘기쁜 날’인 이유는 무엇일까?
(14)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15)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16)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하고,조국의 민주개혁과 평화적 통일의 사명에 입각하여정의·인도와 동포애로써 민족의 단결을 공고히 하고…
(17)대한민국 헌법 전문을 살펴보면
(18)우리는 삼일운동으로 세워진 임시정부의 법통을계승해 헌법을 제정했다고 나와 있음
(19)제헌 헌법(1948년 7월 공포)
(20)“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들 대한국민은 기미삼일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여세계에 선포한 위대한 독립 정신을 계승하여이제 민주 독립 국가를 재건함에 있어서…”
(21)더 나아가 1948년 제헌 헌법으로 돌아가면
(22)”기미삼일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고“민주 독립 국가를 재건”한다고 돼 있음
(23)즉, 삼일운동은 그냥 규모 큰 독립운동이 아니라
(24)대한민국 정부의 모태가 되는 임시정부를 낳아
(25)민주공화국의 첫 출발을 알린 사건이라고 할 수 있음
(26)* 임시정부 출신 독립운동가인 조소앙 선생도삼일운동은 일본 제국주의를 극복하고 대한민국을 세우는
(27)운동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28)하고 있다.主臨川
(29)2 물개.
(30)말로만 계게어쩌고 한 게 아승
(31)실제로 임시정부에서 만든 임시헌법과 건국강령이
(32)제헌법 제정 과정에서 중요한 토대로 된헌
(33)엄연한 역사적 사실에 입각한 거임
(34)* 실제로 헌법 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도
(35)임시정부의 임시헌장에서 유래한 것이다
(36)3월 1일
(37)광복을 맞이함3·1만세운동을 일으킴
(38)헌법을 공포함
(39)5월 31일4월 11일
(40)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41)’임시헌장 10개조’ 채택공식 모임
(42)내용과 체제를 꾸준히
(43)다듬으며 5차례 개헌
(44)5월 10일6월 23일
(45)의회 본회의 통과
(46)다시 말해
(47)삼일운동 -> 임시정부 -> 대한민국 정부
(48)로 이어지는 30년의 건국사에서 첫 출발이 되는 게
(49)삼일운동이라는 소리임
(50)삼일운동의역사적의의이걸로 충분할 테고는
(51)그럼 언 제부터삼일그리 기절이날이었느냐쁜
(52)놀랍게도 삼일운동이 일어난 바로 이듬해인
(53)1920년터쁜었음
(54)1920년 대한민독 립 선 언 이일’임시정부에서는국
(55)삼일절을’라국경일정했음로
(56)당시임정부내는포고령을 내무부리고
(57)이날“자유대탄생한 성한이스러운날이니
(58)독립선언 최초의기“축하” 하념일을지시했음고
(59)[1%+2회
(60)당시독립성대운동가들은한경축식을 거행하고
(61)차량에 태극꽃을 꽂아 퍼기,레이드벌를하면는가
(62)밤되면공연연,회를열폭죽고트리며
(63)립선언감격을 축하했의함다고
(64)사 문신립독 1157-+口火
(65)임시정부 기관<독지신낸 기사를 보면문>에서
(66)“우리민하루를 무한히기쁘게 축하하자! 놀자!족활인오늘
(67)”
(68)란문구가적혀있었하니고
(69)삼일절은 제정 초기부터 나라와 민족의 경사였고
(70)기쁘게 축하하고 노는 날이었음을알 수 있음
(71)*1920년 3월 4일 독립신문
(72)그러면 독 립 운동쁘 축하’ 하면게왜 삼일절을가들은
(73)’기놀라고했을까?
(74)삼일운동에 대피상적으로 아는 사람들이해
(75)자주 하는 말이 있음바로 “삼일운실
(76)동으바로 독립하지 못했으니로라는 소리임냐”
(77)패했고슬픈것아니
(78)하지만 정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이작
(79)모르는 사실 하이바로 독립 동 가들은있음나
(80)운통해동을
(81)“독립의 씨를 뿌렸다”고 생각했다는 것임
(82)런사인식19은23년발행된
(83)미주 교민 매<신한체기사에서 잘 드러남민보>
(84)당시 신한민보의 삼일절 기념 보도를 살펴보면
(85)곧 우리 민족의 큰 명절이날은미국의 7월 4일 프랑스의 7월과역사적 국경일이라 ”삼일절을 미면서국 프,경축랑스의같은 반 올려열에라14일과 같은.
(86)일과
(87)놓은것을 확인할 수 있음
(88)삼일절을 미국 독립기념일, 프랑스혁명기념일과
(89)같은 반열에 올 이유를 읽어보면린
(90)그 놀라운 역사관에 감탄할 수밖에 없는데
(91)“미국도 독립선언 후 8년바스티도함락 이래유민주주의 공화국을 세우는 데 성공했다립 의 기 초 를 세 이상운독립의 성공은 시기의 문제였을 뿐이다”간싸끝에했고을
(92)프랑스몇번명거쳐
(93)우리도로
(94)* 1923년 3월 1일 신한민보의 내용을 요약한 것임
(95)바로 이것 독립운동 시기부터 삼일절이이‘기쁜 날’ 이고 ‘경사스러운 날’이었던 이유임운동은 한 번 만세 부르 고 끝내는 게 아독립국가를 세우기 위한 출발 이 의미가 있고라는시작을 한 만큼 반드시 성공할 것 이 라 확신했던 것
(96)니라
(97)경기억하자 E-절 전취하자 팀
(98)되자마자 삼일절은리 국 경 일 이 되 었고*또 가장 경사스럽고 기쁜 날이 되었던 것임그래서해방
(99)광복절보다더 빨
(100)* 삼일절은‘1946년2월에 ‘국가경축일’지정됐음
(101)광복절이 국경일로 승격된 것은 1949년의 일
(102)당시 사람삼일절얼마기나뻐했는지는
(103)경축행사만 봐도 짐작할 수가 있는데
(104)정치적격변과대내외적혼란으인해
(105)경축문화가 소실되기 전까지만 해도가쇼와 장식두 경축, 퍼 레 예술제이드,행진, 폭죽놀이 등 밤낮을 기리지 않고불
(106)축하어
(107)횃
(108)삼일절을 축하하는 행사가 열렸다고 함
(109)그래립운동가들많순하셨는데
(110)마냥 기뻐만 하는 건 좀 그렇지 않냐고?
(111)물론과정에동많서국선열들이
(112)고문 받고 희생당한 것을 부정할 순 없음했 다 고 해도그 삼일운동의 씨가 싹트고 열매를 맺기까지는
(113)동가들이절뻐
(114)무려 30년이나 더 기다려야 했으니까 말임
(115)하지독국의수 있겠지만독립 선 언 이후 자 유 쟁를 취 하 기 까지수많은 사람들이 죽고 포로로 잡혔음만미봐립만알
(116)이쪽
(117)외세의없이움암암리에 7월 4일을 기념하면서국인들은는길가망도없던상황이었지만
(118)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염원했었던 것임
(119)그런 정 을 가지고 치열하게 싸운 끝에미국은 영국으 로 독립부터 하을 되게 었고7월 4일 독립기념일을 당당하게 축하할 수 있게 됐음
(120)독립운동 삼일가들이축절을 하바로 그런 간절한 염원에서였음것도한
(121)“오는 3월 1일의 기쁜 경축 을반드시 우리의 목적지에서 행하게 되기를역원하며 또한 간축하노라”
(122)1921년 3월 1일 임시정부 학무총장 김규식
(123)1948년 정부 수립의 해에 열린 삼일절 행사에서
(124)“ 29년지난 이날을 경축한 것간비 혁명의 성공을 준비하기폭력위해 한 것 인데오늘 와서는 비폭력 혁명이 성공한 것을 경축한다”연 있설이 었 던 것 만 봐 도독립운동가들이 얼마나 삼일절을 축하하고 싶었는지
(125)라는
(126)그 간절했던 바람을 읽을 수 있음
(127)비록 오늘날 와서 는 독 립 운 동 가 바람이들의많이 잊히고 퇴색되었지만
(128)이제서라도 삼 기쁜 날이라는 사실을 알고일절이또 이날에 즐겁고 신나게 노는 것이야말로선열들의 뜻을 바로 계승하는 게 아 닐 싶음까
(129)“대한의 남녀야!이날을 기뻐하여 만세를 불러라!날뛰 노래며기리라!”하여
(130)산 삼일절”로- 1924년 3월 1일 배달공론 -“배달족의 피
(131)* 세 줄 요약
(132)1. 삼일운동은 단순히 만세 부르고 끝낸 게 아니라나라의 독립을 선언 임시정부를 세워서하고오늘날 대한민국의 기초를 닦은 위대한 역사임독립일절은 의 첫 출 발 을 기 념 하 는 날 이고독립운동할 때부터 순국선열들께서기쁘게 축하하라고 신신당부한 날임3. 삼일절은 슬픈 날 아 니 고 기 쁜 날 이니까마셔라 하면서 즐겁게 축하하는 게어라독립운동가들의 뜻을 바로 잇는 거임
(133)2. 삼

!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