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카카오 N번방 최초보도하신 권선미 기자님 사설

다음 카카오 N번방 최초보도하신 권선미 기자님 사설

이미지 텍스트 확인

(1)여성 커뮤니티 이어 서울대까지 N
(2)번방, 예외없이 엄벌해야 [사설]
(3)입력2024.05.21. 오후 5:25 수정 2024.05.21. 오후 7:31기사원문
(4)1) 가가
(5)84만명이 넘는 회원을 거느린 여성 전용 온라인 커뮤니티가 ‘여성판 N번방 논란에 휩싸인 데 이어 ‘서울대판 N번방 사태까지 벌어져 충격을 주고 있다.2019년 미성년자를 협박해 성착취 영상을 만들어수익을 챙긴 N번방 사태 이후 관련 법이 개정되고처벌이 강화됐지만, 디지털 성범죄는 근절되지 않고있다. 수법은 더욱 교묘해지고, 피해자도 늘고 있다.체계적인 수사와 예외 없는 엄벌이 필요한 이유다.
(6)여성의 성 상품화에 반대 목소리를 내왔던 대형 여성 커뮤니티에서 외국 남성들의 나체 사진과 미군신상정보 등이 공유됐다는 것은 경악할 만한 일이다. 피해자 중에는 미성년자까지 있었다고 한다. 디지털 성범죄의 피해자는 여성, 가해자는 남성이라는인식이 그릇된 것임을 보여주는 사건이기도 하다.여성 정치인들도 남녀 구별 없는 처벌을 요구했다.포는 “수년 전 많은 여성에게 극
(7)심한 피해를 준 N번방 가해자들과 동일한 잣대의 엄
(8)벌이 내려지길 기대한다”고 했다.
(9)”동일한 잣대의 엄벌, 이것이 핵심”이라고
(10)강조했다.
(11)여학생들의 얼굴을 나체 사진 등에 합성한 음란물을만들어 텔레그램을 통해 유포한 ‘서울대판 N번방’은가해자들이 명문대 학생이라는 점은 물론 피해자들의 고소에도 경찰이 피의자를 특정하지 못해 4차례나 수사 중지·불송치 결정을 내렸던 사건이라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감시와 추적을 피하기위한 범죄자들의 수법이 진화하면서 수사력이 닿지않는 사각지대가 늘고 있는 것이다.
(12)한국여성인권진흥원 피해자지원센터에 접수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는 2018년 1315명에서 2022년7979명, 2023년 8983명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피해자 가운데 2320명(25%)은 남성일 정도로 피해자의 성별을 구분하는 것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디지털 성범죄는 전파성이 큰 탓에 피해자들에게 지속적인 공포를 준다. 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피해자들은 ‘실존적 생지옥’을 경험한다고 한다. 범죄자에대한 무관용 처벌과 신속한 피해자 구제가 절실하다.

다음 카카오 N번방 최초보도하신 권선미 기자님 사설

이미지 텍스트 확인

(1)24. 5. 22.(수) 매일경제
(2)<여성 커뮤니티 이어 서울대까지~번방, 예외없이 엄벌해야>
(3)84만명이 넘는 화원을 거느린 여성 전용 온라인 커뮤니티가 ‘여성판 ~번방’ 논란에휩싸인 데 이어 ‘서울대판 N번방’ 사태까지 벌어져 충격을 주고 있다. 2019년 미성년자를현악해 성착취 영상을 만들어 수익을 챙긴 N안방 사태 이후 관련법이 개정되고 처벌이강화됐지만, 디지털 성벌되는 근절되지 않고 있다. 수법은 더욱 교묘해지고, 피해자도늘고 있다. 체계적인 수사와 예외없는 엄벌이 필요한 이유다.
(4)여성의 섬 상품하게 반대 목소리를 내왔던 대형 여성 커뮤니티에서 외국남성들의 나체사진과 미군 신상정보 등이 공유됐다는 것은 경악할 만한 일이다. 택해자 중에는 미성년자까지있었다고 한다. 디지털 성범죄의 피해자는 여성, 가해지는 남성이라는 인식이 그릇된것임을 보여주는 사건이기도 하다. 여성 정치인들도 남녀 구별 없는 처벌을 요구했다. 하보다개혁신당 대표는 “수년 전 많은 여성에게 극심한 피해를 준 사민당 가해자들과 동일한잣대립의 엄벌이 내려지길 기대한다”고 했다. 나경은 국민의힘 당선인도 “동일한 잣대의엄밀, 이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5)여학생들의 얼굴을 나래 사진 등에 합성한 음란물을 만들어 텔레그램을 통해 유포한’서울대판 ~번암’은 가해자들이 명문대 학생이라는 점은 물론 피해자들의 고소에도경찰이 피의자를 특정하지 못해 4차례나 수사 경기. 물단지 결정을 내렸던 사건이라는 점필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감시와 추적을 피하기 위한 범죄자들의 수업이 진화하면서수사력이 닿지 않는 사각지대가 늘고 있는 것이다.
(6)한국여성인권진흥원 피해자지원센터에 접수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는 21년1315명에서 2022년 7999명, 2023년 8983명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피해자 가운데2320명(25%)은 남성일 정도로 피해자의 성별을 구분하는 것은 더이상 의미가 없다.디지털 성범죄는 전파성이 큰 탓에 피해자들에게 지극적인 공포를 준다. 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피해자들은 ‘실질적 의식’을 경험한다고 한다. 범죄자에 대한 무관용 처벌과

다음 카카오 N번방 최초보도하신 권선미 기자님 사설

이미지 텍스트 확인

(1)arma_mk 오늘의 사설입니다.
(2)원본 링크는 인스타 스토리에 첨부했습니다.
(3)오늘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손으로 먼저 적으시더라…)

출처1 :

https://naver.me/Gvd6z9yx

출처2 : 인스타그램 arma_mk

여성커뮤니티든 서울대든 공평한 잣대로 수사하고 엄벌하길

공론화 해주시는 분들 있을 때 밀고나가야함 레알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