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과 형

괴물과 형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영화 괴물을 봤다. 초등학교 오학 년의 남자아이 둘과 부모와 선생, 교장 선생님이 주로 나온다. 편견과 각자의 사정, 동심, 아이들의 우정과 사랑 같은 걸 다룬 달까. 간단하게 설명하긴 어렵다. 모두 개인의 사정과 편견과 욕심을 가졌고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걸, 틀린 게 아니라 서로 다르다는 걸, 좀 더 너그럽게 바라봐야 한다는 이야기 또한 담겨 있을까. 추리와 반전 같은 느낌도 극 안의 극이 담긴 옴니버스 같은 시선의 구성도 있다. 아이들의 이야기는 정말 아이들의 생각과 행동, 시절을 보여주고 돌이키게 했다. 인성적인 영화였고 흔하지 않은 영화였다.

내가 국민학교 이학 년 때인가. 오락실에서 친구들과 게임을 했다. 친구가 우연히 고장 난 오락기 뒷면에 돈통을 발견했는데 몇 명이서 동전을 꺼내 게임을 했고 오락실 주인아줌마에게 걸려 뺨을 맞았다. 주인아줌마는 동전 훔치기에 가담했던 아이들 각자에게 오만 원씩 집에서 가져오라고 했던 것 같다. 돼지 저금통을 뜯었었나. 옷장 안 아버지 옷 주머니 안에도 돈은 얼마 안 됐고 나는 형들과 친구들과 집을 나갔다.

저수지 길과 외갓집 길을 지나 모르는 시골길을 걷고 걷다가 깜깜해져 비닐하우스 안에서 잠이 들었는데 불을 피워서였던 건지 무리 중 한 명이 자수를 했던 건지, 우리는 당일날 저녁 경찰에게 붙잡혔다. 난 세상에서 형을 가장 무서워했는데 집을 나간 이유도 부모님보다 형에게 오락실 사건을 발각되면 맞아서 반 죽거나 아님 정말 죽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경찰서엔 아이들의 부모님들이 찾아왔는데 나는 형만 혼자 왔다.

걸어서 삼십 분인가 한 시간인가 경찰서에서 집까지 걸어가는데 형은 자전거를 끌고 나는 고개 숙인 채 옆을 따랐다. 형은 한 두 마디 물었었나. 때리지도 않았고 별말 없이 먼 길을 어색하게 걸었다. 종아리를 때린 게 아빠였나 엄마였나. 엄마가 때린 건지 우신 건지 모르겠다. 하나도 아프지 않았는데 아마 태어나 맞은 것 중 가장 안 아프던 날이었다.

소리도 없이 비닐하우스와 밭들을 번쩍이며 비추던 경찰차 경광등. 집에 돌아가던 길은 가로등도 없고 까맣게 선 버드나무들이 무당처럼 팔을 흔들었다. 몰래 훔쳐본 형의 옆얼굴이 희미했는데 굳은 표정으로 앞만 보고 있었다. 붙잡혔던 비닐하우스부터 집에 돌아가는 숲길까지 보이지도 않는 황소개구리 떼가 뒤쫓아왔다.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