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유율 1위도 뺏기고 폭망하는중이라는 멜론.jpg

점유율 1위도 뺏기고 폭망하는중이라는 멜론.jpg

이미지 텍스트 확인

(1)점유율 1위도 뺏기고 점점 폭망하는중이라는
(2)멜론 차트.jpg
(3)수박줍줍 29분 전 3,406
(4)댓글 36
(5)홈 > 한경BUSINESS
(6)’탑100보다 내 취향이 먼저’ 무너진 멜론 천하
(7)입력 2022.12.01 06:00 수정 2022.12.01 06:00
(8)제 기사들기 ㅇ
(9)유튜브 뮤직 성장세 급증… 끼워 팔기’ 비판 있지만 음원 소비 방식 변한 게 핵심
(10)올해 10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음악 스트리밍 앱을조사한 결과 1위는 459만 명의 유튜브 뮤직이었다.
(11)뒤를 이어
(12)2위 멜론 454만 명
(13)3위 지니뮤직 232만 명
(14)4위 플로 149만 명
(15)5위 네이버 바이브 106만 명
(16)6위 스포티파이 54만 명
(17)7위 카카오뮤직 36만 명
(18)8위 벅스 32만 명
(19)부정할 수 없는 것은 멜론의 하향세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와 비교해 사용자 수가 가장 많이 감소한 플랫폼은 멜론이었다. 멜론은 전년 동기 506만 명에서 454만 명으로 52만 명 감소했다. 그다음으로 사용자 수가 많이 감소한 앱은 지니뮤직으로 34만 명이 줄었다. 플로가 34만 명, 카카오뮤직이 20만 명, 벅스가 2만 명 감소했다.
(20)이와 반대로 전년 동기 대비 사용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앱은 유튜브 뮤직이었다. 지난해 10월 348만 명에서 올해 10월 459만 명으로 111만 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네이버 바이브는 83만 명에서 106만 명으로 늘었고 스포티파이는 49만 명에서 54만 명으로 늘었다.
(21)한국에서 ‘음원 사이트’라는 플랫폼이 등장한 후 멜론은 항상 과반의 점유율을 기록해 왔다. 대중음악 시장에서 히트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이 음반 판매량에서 음원 스트리밍 횟수로 바뀐 후 멜론의 영향력은 더 커졌다. 멜론 차트의 개편 기준에 대해 커다란 관심이 쏠릴 정도였다. 차트의 집계 기준에 따라 ‘음원 1위’라는 타이틀을 다느냐 마느냐가 걸려 있기 때문이었다.
(22)영원할 줄 알았던 ‘멜론 천하’에 금이 가기 시작한 것은 전문 음원 플랫폼이 아닌 유튜브 뮤직이라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