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자성이 어쩌구… 쉽게 설명한.manhwa

강자성이 어쩌구... 쉽게 설명한.manhwa

이미지 텍스트 확인

(1)LK-99 잉곳 샘플을 해석하는 만화
(2)+중남대 샘플 해석하는 만화
(3)언제나 그렇듯이
(4)최대한 직관적인 해석
(5)현재 밝혀진 LK-99샘플은 세 형태로 존재한다.
(6)잉곳(ingot)뿌숨
(7)불순물 최대로!불순물이 많음불순물이 적음
(8)여기서 불순물의 종류는
(9)자성만 보면이렇게 추측된다.
(10)개 쓸데없는
(11)해당 자성을 직관적으로 설명하면 이거다.
(12)자성을 띄지 않다
(13)자석을 대면
(14)강한 자성을 가진다
(15)자석을 떼도
(16)오랜시간 자성을유지한다
(17)자성을 띄지 않다자석을 대면
(18)약한 자성을 가진다
(19)자석을 떼면
(20)자성이 곧 사라진다
(21)무조건 자석과
(22)떨어지려 한다

강자성이 어쩌구... 쉽게 설명한.manhwa

이미지 텍스트 확인

(1)초전도체는 다 아니 생략한다
(2)이것 말고 또 도체,부도체, 반도체 물질도 있다.
(3)이 잡탕것들이 죄다 섞여있는 게 기본적으로LK-99라는 놈이다.
(4)내부(개판)
(5)그러면 어째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6)납 인회석의 구조를 가져왔다.
(7)잘 보면 반복되는 육각 구조체가 보인다.
(8)이 납 원자로 구성된 육각 구조체중
(9)초록색으로 표시된 바깥 구조체를 보자
(10)바깥의 여섯 원자들 중 정확히
(11)특정 위치의 한 원자가 구리로 바뀌어야 한다.
(12)굴러온 돌이
(13)박힌 돌 빼낸다
(14)꼭 이래야만 하는데
(15)정확한 이유는 아무도 모른다.

강자성이 어쩌구... 쉽게 설명한.manhwa

이미지 텍스트 확인

(1)만약 구리원자가 다른 곳에 들어가거나구리원자가 더 들어오거나
(2)안들어오면 물리적 성질이 바뀐다.
(3)다른곳에 들어갈
(4)더 들어올
(5)경우의 수
(6)아예 안들어올 경우
(7)아주 단순히 따져봐도 초전도성 물질이 나올확률 대비 아닌놈이 나올 확률은 1/31 이다.
(8)3.2%라니
(9)가챠 대 혜자다!
(10)그리고 이 친구를 일렬로 세워야한다.
(11)그러면 구리 원자가 생긴 쪽으로
(12)전자 고속도로가 뚫려 초전도 현상이 일어난다
(13)전자 고속도로
(14)보면 알겠지만 이어진 형태가 선이다.그래서 1차원(선) 초전도체다.
(15)근데 이게 얼마나 길게 붙어있을 지도
(16)알 수 없고 얼마나 모여있을 지도 알 수 없다.
(17)↓심하면 이렇게 될 수도 있다;;
(18)LK-99 잉곳 샘플 머리카락 굵기
(19)• 1차원 초전도체 위치
(20)설령 진짜 초전도체가 안에 있더라도
(21)이를 분리해내긴 불가능에 가까우며
(22)측정도 불가능에 가깝다.
(23)있다는 걸
(24)증명할 수 없으니
(25)복합 자성체라
(26)부를수 밖에

강자성이 어쩌구... 쉽게 설명한.manhwa

이미지 텍스트 확인

(1)그렇기에 샘플을 공개하라 하는 거다.
(2)현재 가장 순도가 높은 샘플은
(3)퀀텀에너지의 박막 샘플일테니까.
(4)타 연구진 샘플퀀텀에너지 박막 샘플
(5)이번에 새로 중국에서 나온 샘플이 있다.
(6)중난대? 충남대? 의 연구원이 라이브 방송송출까지 하면서 인증한 잉곳 샘플이다.
(7)이 존만한거 맞다.
(8)이 샘플이 중요한 이유는 자석의 회전과
(9)상관없이 자세를 계속 유지한 채 있으며
(10)떠 있는 걸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11)현미경과 연결된 모니터 화면
(12)얇은 잉곳 샘플
(13)물론 빨간색으로 원이 그려진 곳이
(14)아주 얇게 붙어있진 않나 추정되긴 한다.
(15)인도의 아와나교수가 만든 두 샘플과비교해봐도 확연히 접촉 면적이 다르다
(16)아와나 교수의 샘플은 점이 아니라
(17)면으로 서있으며, 오뚜기 효과에 의해서 있는 게 설명이 가능하다.
(18)중국의 샘플이 물리적으로 더 이상한
(19)상황이라는 말이다.
(20)어케 서있음?
(21)말걸지마라
(22)집중해야한다
(23)빛의 회절때문에 붙은 것처럼
(24)보이지만 명백히 떠 있음

강자성이 어쩌구... 쉽게 설명한.manhwa

이미지 텍스트 확인

(1)빛의 회절이 나와서 하는 얘긴데
(2)빛의 회절은 어떤 물체에 부딪힌 빛이
(3)가장자리에서 파동처럼 퍼지는 현상이다.
(4)이거 모르면미술학도 아님
(5)그러니 빛의 회절이 일어났다면
(6)그 부분은 해당 물체의 가장자리라는 소리…
(7)회절 때문에 떠있는 것 처럼 보이는 게 아니라회절 자체가 떠 있다는 증거나 마찬가지다.
(8)아무튼 떠 있는 게 초전도체 말곤
(9)설명이 불가능하냐 를 따져보자면
(10)강자성체와 반자성체의 완벽한 조합으로저렇게 떠있을 수 있다.
(11)강자성체 힘이 아주아주 강함반자성체 힘이 약간 더 강함
(12)여기서 중요한 점은 결국 강자성체가아주아주 많이 강해야 하며 바닥 부분에만대부분 그 힘이 존재해야 한다는 거다.
(13)이것보다 더 넓게
(14)퍼졌다면 기울어질걸?
(15)문제는 이렇게 될 경우
(16)자성이 아무리 강해도 너무 불안정해
(17)회전관성을 버틸 수 있을지 의문이다.
(18)내가 더 셈
(19)그래서 나도 안에 초전도체가 있다고,
(20)심지어 좀 비중 높게 존재한다 생각한다.

강자성이 어쩌구... 쉽게 설명한.manhwa

이미지 텍스트 확인

(1)하지만 중난대에서 초전도성을 띄는
(2)입자들만 측정한다거나 골라내는 건
(3)불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4)저항 0 측정은 기대하지 말고…
(5)그러니 최대한
(6)다른 자성 물질로
(7)설명이 불가능한행동이라는 걸
(8)증명해야해
(9)하지만 이건 이과들의 딥한 싸움이지
(10)나같은 그림돌이가 이해 할 수나 있을까?
(11)그렇기에 오늘도 진실을 알기 위해노력하는 연구원분들께 박수를 보내며어떤 결과가 있을 지 두고보자고!
(12)나 아무말도
(13)안 하고 있는데
(14)지들끼리 신났네ㅋㅋㅋ

!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