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에서 제안한 지구온난화를 막을 방법.jpg

NASA에서 제안한 지구온난화를 막을 방법.jpg

이미지 텍스트 확인

(1)“달 표면 먼지로 햇빛 가릴 수 있어!”
(2)연구 결과, 크게 두 가지 방안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떠올랐습니다.
(3)첫 번째는 제1라그랑주점(L1)에 우주 플랫폼을 띄우고 지구에서 가져간 물질을 쪼개 뿌리는 방법입니다. L1은 태양과 지구 사이에서 중력 균형을 이뤄 안정적 궤도를 유지할 수 있는 지점입니다. 다만, 이 경우 태양풍·복사 에너지·중력 등의 영향을 받아먼지가 쉽게 흩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이에 두 번째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달 표면에 기지를 구축한 이후 L1 방향으로 달의 먼지를 쏘아 올리는 것입니다.
(5)시뮬레이션 결과, 여러 입자 중 40억 년에 걸쳐 형성된 달 먼지가 햇빛 차단에 가장 적합한 속성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또 지구보다 낮은 중력 덕에 먼지를 쏘아 올리는 에너지도 적게든단 장점도 있습니다.
(6)벤자민 브롬리 미국 유타대 물리천문학 교수와 미 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관측소 연구팀은 달 표면에 있는 먼지를 제1랑그랑주점L1에 보내 차양막을 만드는 아이디어를 시뮬레이션 모델을 활용해 연구했다 ©Ben BromleyUniversity of Utah
(7)발사를 위한 최적의 장소와 궤도도 조사됐습니다. 달의 북극에서 초당 2.8km의 속도로 L1을 향해 달 먼지를 쏘아 올리는 것입니다. 약 100만 톤의 달 먼지를 L1을 향해 쏘아 올리면 차양막생성에 약 5일이 소요됩니다.
(8)이 차양막이 1년간 유지될 경우 지구로 오는 햇빛의 약 1~2%를감소되는 것이며, 이는 지구로 오는 햇빛의 약 6일분에 해당합니다.
(9)달 먼지 차양막은 태양풍 등의 영향으로 그 형태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엔 연구팀은 차양막 유지를 위해서는달 먼지를 계속 공급해야 한다며 “(차양막이) 1년간 유지되기 위해선 약 1,000톤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10)
▲ 달 표면에서 연속적으로 발사된 먼지가 제1랑그랑주점L1 부근에 뭉쳐
(11)진 모습이 시뮬레이션으로 확인왼됐다 다만 달 표면에 있는 먼지 등 자원을 쏘아올리기 위해선 여러 장비오가 필요하다 ©PLOS Climate LockheedMartin Space Systems
(12)달 먼지 차양막, 지구에 피해 줄 수 없
(13)어…“온실가스 감축이 최우선순위”
(14)태양빛의 일부를 차단해 기후변화 속도를 늦춘단 점에서 이 계획도 ‘태양지구공학(Solar geoengineering)’에 속합니다. 성층권 내 에어로졸 입자 살포 등 여러 공학적 기술을 사용해 기후문제를 해결하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으나, 자칫 지구에 예기치 못한 피해를 줄 수 있단 우려가 있습니다.
(15)이에 달 먼지 차양막이 태양지구공학의 우려점을 일부 해소할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합니다. 우주에 뿜어진 달 먼지 입자가지구에 닿는 햇빛을 영구적으로 가리는 것이 아니고, 며칠 이내로 다른 우주 공간으로 흩어지기 때문입니다. 또 달 먼지가 지구대기를 뚫고 떨어지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강조했습니다.

NASA에서 제안한 지구온난화를 막을 방법.jpg

이미지 텍스트 확인

(1)달표면 먼지로 만들어요!
(2)달의 먼지로 만들 차양막
(3)달 표면의 먼지를 태양을 향해 흩뿌려 차양막을 만들면지구의 먼지를 보급하는 것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4)달 먼지 고유의 특성이 차양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해요!
(5)동아사이언스 www.dongascience.com/news.php?idx=58399

NASA에서 제안한 지구온난화를 막을 방법.jpg

이미지 텍스트 확인

(1)우주먼지로 만든 차양막
(2)햇빛을 막을 우주 차양막
(3)벤자민 브롬리 미국 유타대 물리천문학과 교수와스콧 켄연 미국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관측소 연구원팀은햇빛을 일부 차단할 방법을 국제학술지 ‘플로스 기후’에 발표했어요!우주 공간에 만든 차양막을 통해 태양으로부터 지구에 닿는 햇빛을약 1~2% 차단할 수 있다고 해요!
(4)동아사이언스 www.dongascience.com/news.php?idx=58399

NASA에서 제안한 지구온난화를 막을 방법.jpg

이미지 텍스트 확인

(1)너무 추워지지 않을까?!
(2)영화 설국열차에서는 지구온난화를 해결하기 위해인공 냉각 물질을 활용했지만 급격한 기온 하강이 발생하였는데요.우주 차양막이 지구에 닿는 햇빛을 크게 막아 이러한 급격한 기온하강이 있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요.이에 연구팀은 일부 햇빛을 막는다고 혹독한 추위가 오지는않는다고 답변했어요!
(3)동아사이언스 www.dongascience.com/news.php?idx=58399

달표면 먼지를 태양으로 날려서 막기

단순 우주거울이나 우주에 기포차양막을 날리는 비용보다

훨씬 저렴하며 대기권에 화산폭발,인공 먼지 뿌려서

가리는거보다 부작용도 훨씬 적다고 한다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