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크가 개발된지 얼마 안되었을 때 이야기들

탱크가 개발된지 얼마 안되었을 때 이야기들

탱크가 개발된지 얼마 안되었을 때 이야기들

이미지 텍스트 확인

(1)맥아더 장군
(2)1917년 미국이 1차대전에 참전하자
(3)젊은 맥아더는 프랑스 전선으로 갔고
(4)참모 계급이었음에도 불구하고
(5)책상에 앉아서 서류를 넘기는 것이 아닌
(6)최전선에 나가서 병사들에게 직접 명령하기를 좋아
(7)최전방에서도 철모를 쓰지 않았고
(8)여러 번 죽을 고비를 넘기고
(9)독가스 공격에 2번이나 병원으로 실려갔다.
(10)그는 지휘관은 병사들과 함께 싸워야
(11)사기를 올릴 수 있단 확신이 있었고
(12)미 국방부는 무공훈장을 수여한다.
(13)리더는 책상이 아니라
(14)현장에 있어야 한다는 신조를 가지고 있었다.
(15)윈스턴 처칠
(16)젊은 나이에 해군장관이 됐지만
(17)갈리폴리 작전이 처참하게 실패하고
(18)정치적으로 몰락하기 직전일 때
(19)명예를 회복하고자
(20)최전방으로 뛰어든다.
(21)전쟁터를 직접 눈으로 본 처칠은
(22)장갑차의 존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고
(23)여러 프로젝트 중에 하나였던
(24)MK프로젝트
(25)즉, 탱크 개발을 열렬히 지지하며
(26)당시 육군장관이던 키치너에게
(27)당신이 장난감이라 부르던 것이
(28)전쟁을 바꿀 것이라고 설득한다.
(29)명예가 회복되고 군수장관에 임명됐을 때
(30)적극적으로 탱크를 지지하였다.
(31)조지 S 패튼
(32)미국에서 멕시코 출신 갱들을 소탕하던
(33)임무를 맡던 육군대위 패튼은
(34)전쟁이 터지자 유럽으로 가게 된다.
(35)치고 빠지는 약탈을 하며
(36)기마전을 펼치는 멕시코 갱들을 상대로
(37)느릿느릿한 정규군의 한심한 대응을 본 패튼은
(38)이동하면서 공격할 수 있는 무언가를 원했고
(39)프랑스에서 처음으로 탱크와 만나게 된다.
(40)그는 미국 최초로 기갑부대 지휘관이 됐고
(41)최전방에서 탱크를 지휘하며 싸웠다.
(42)기동전이 전쟁의 패러다임이라고 확신하며
(43)종전 후 철저한 탱크 신봉자가 된다.
(44)베니토 무솔리니
(45)언론의 편집장이었던
(46)젊은 무솔리니는 1916년 이탈리아의 총동원령이
(47)내려지자 예비역 신분으로 전쟁에 참전한다.
(48)최전방에서 참호전을 하면서
(49)1년에 가깝게 전투를 치뤘고
(50)박격포 파편으로
(51)몸에 40개의 파편이 박히는 중상을 입고
(52)전역한다.
(53)무솔리니는 원래 사회주의자였으나
(54)전쟁을 겪으면서 국가주의와 애국심이
(55)사람을 하나로 집결시키는
(56)진정한 힘이란 것을 깨닫는다.
(57)전쟁이 끝난 후
(58)쿠데타를 통해
(59)파시즘 정권을 탄생시킨다.
(60)샤를 드골
(61)1916년 프랑스군 대위로서
(62)양측 병력의 합이 200만 명이 넘는
(63)베르됭 전투의 최전방에서 구르다가
(64)결국 독일군에 포로로 잡힌다.
(65)5번의 탈옥 시도를 했으나
(66)번번하게 잡혔고
(67)결국 종전까지 포로 생활을 했다.
(68)이곳에서 러시아군 포로였던
(69)미하일 투하쳅스키와 만나기도 했다.
(70)이때 드골은 참호 전투 같은 소모전은
(71)아직도 전열보병 시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72)돌대가리 늙은 장군들이나 하는 것이며
(73)전쟁을 바꿀 열쇠는
(74)탱크를 통한 기동전이라고
(75)생각하는 계기가 된다.
(76)아돌프 히틀러
(77)젊은 시절의 히틀러는
(78)독일군에 입대하여
(79)1914년부터 1918년까지
(80)최전방에서 전투를 치렀다.
(81)전투를 하면서
(82)연락병도 했었는데
(83)작전 편지를 가지고
(84)참호에서 나와 총 한 자루를 쥔 채
(85)기관총 벌판을 뛰어다니며
(86)다른 참호로 편지를 전달했다.
(87)사망률이 매우 높은 역할이지만
(88)자진해서 했던 것이 눈에 띄게 되어
(89)이례적으로 1급 철십자 훈장을 받게 된다.
(90)독가스 공격으로 여러 번 죽을 뻔 했는데
(91)그 때문인지 전쟁 막바지까지도
(92)전쟁터에서 독가스는 사용되지 않았다.
(93)또한 당시 독일군은 탱크를 과소평가하고
(94)거의 생산하지 않았는데
(95)현장에서 탱크의 위력을 직접 본 히틀러는
(96)그 후 과할 정도로 탱크에 집착하여
(97)각종 중전차가 탄생하는 계기가 된다.
(98)1차대전을 겪은 자들이
(99)2차대전을 지휘하다.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