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에만 있는 문화

마을발전기금

시골에만 있는 문화
이미지 텍스트 확인

(1)혹시, 마을발전기금을 알고 계신가요?
(2)시골 마을에서 새로 전입한 주민들을 상대로 마을 발전 명목으로 거두는 돈인데요.
(3)왜 돈을 내야 하는지, 또, 얼마나 내야 하는지, 명확한 기준이없어 주민 간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습니다
(4)’마을발전기금’ 갈등
(5)7 “아버지 집으로 전입…발전기금 100만 원 요구”
(6)권미영 씨는 2년 전, 아버지가 있는 이 마을로 귀촌했습니다.
(7)당시 아버지 집 근처 주택으로 주소도 이전했습니다.
(8)문제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아버지 집으로 다시 주소를이전하자 시작됐습니다.
(9)마을에서 발전기금 100만 원을 요구했기 때문입니다.
(10)”마을 안 다른 집으로 전입해도 발전기금 내야”
(11)자녀가 외지에서 아버지 집으로 전입했다면 납입 의무가 없지만, 같은 마을 다른 집에서 본가로 전입했기 때문에 기금을 내야한다는 게 이장의 요구였다고 권 씨는 말합니다.
(12)권미영 단양군 대강면
(13)(그런 논리면) 원래 살던 주민도 그 옆쪽으로 이전하면발전기금을 또 내라는 건데 그게 말이 되느냐.
(14)[권미영/단양군 대강면 : “(그런 논리면) 원래 살던 주민도 그
(15)옆쪽으로 이전하면 발전기금을 또 내라는 건데 그게 말이 되느냐…”]
(16)”이번 일에 대해
(17)특별한 입장은 없다”
(18)”추후 마을 총회에서
(19)다시 논의할 것”
(20)마을 이장
(21)이에 대해 마을 이장은 구체적 답변을 회피하면서 마을 총회
(22)에서 이문제를 다시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번
(23)’마을발전기금’에 대한 인식
(24)자료: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20년 빅데이터 분석
(25)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분석자료에서도 귀농·귀촌인 가운데
(26)70%이상마을발전기금에대해부정적 인식을 보인 것으
(27)로 나타났습니다.
(28)전대욱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위원
(29)7 왜 그 돈을 내야 하는지 돈을 내는 경우에 그 독이 어떻게
(30)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정확히 알아야 사실 수긍을 할 수 있는데…
(31)[전대욱/한국지방행정연구연원: “왜구위원그 돈을 내야 하
(32)는지, 돈을 내는 경우에 그 돈이 어떻게쓰여지고, 어떻게 활
(33)용되는지를 정확히알아야사실수긍할있는데…”]
(34)I’마을발전기금’ 갈등
(35)마을 발대한 근거와 내역 공개 등을 담은 표준화된전기금에
(36)규약이 없다불러오 고귀농 귀보니습니다촌장려하는농주민간갈등
(37)만.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