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빨대 사용이 무의미한 이유!!!!!

종이 빨대 사용이 무의미한 이유!!!!!

(1)종이 빨대 백날 써봐야 의미 없는 이유.jpg 종이 빨대 사용이 무의미한 이유!!!!!(1)바다는 지구 전체 생명체/중 80%의 보금자리입니다~
(2)다큐멘터리 제작자인 알리는 바다를 정말 사랑하 는 사람임.
(3)그래서 대학 졸업논문도 바다와 관련된 다큐멘터 리로 준비함.
(4)그 중에서도 그는 고래를 가장 좋아했기에 고래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찍기로 결심함.
(5)하지만 그가 직면한건 환경 오염으로 인해 끔찍하 게 죽은 물고기들이었음.
(6)물고기들이 플라스틱을 먹고 죽어, 뱃속에 플라스 틱이 가득했다는 기사는 모두들 한 번 쯤 봤을거라 생각함.
(7)고래같은 거대한 동물들은 미세 플라스틱(플라스 틱이 작은 조각으로 분해되면서 생긴 미세한 크기 의 플라스틱)을 플랑크톤으로 착각해서 먹으면서 발생한 현상임. 종이 빨대 사용이 무의미한 이유!!!!!(1)JAMILLION SOLARERCIMETERS. – 어마어마한 떠 있는 쓰레기 섬들을 대양 한가운데에 만들었는데
(2)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바다에 버려지면서, 그 것들이 한데 모여 마치 거대한 섬이 되었다는 의미 에서 생긴 단어임.
(3)1분마다 트랙 할 때 분명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4)이미 떠 있는 1억 5천만 돈 이상의 대열에
(5)지금도 1분마다 트럭 한 대 분량의 플라스틱이 바 다에 버려지며, 바다에는 1억 5,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표류하고 있음.
(6)고래의 죽음과 플라스틱 아일랜드를 보고 분노 한 알리는 본인부터 조금씩 바꾸기 시작함. 종이 빨대 사용이 무의미한 이유!!!!!(1)해양 자선단체에 대한 기부를 시작하고,
(2)’하면 청소에 동참했으며,
(3)해변 청소에 동참을 했으며,
(4)앨리와 플라스 못쓰게 하는 있다.
(5)플라스틱 빨대를 다른 걸로 교체하실 수 있나요?
(6)그리고 지금도 화제가 되었던 플라스틱 빨대에 대 한 교체 운동도 덤이었음.
(7)(이건 나중에 중요한 내용이 나오니까 기억해두는 게 좋음)
(8)그러던 몇달 후 알리는 의문이 들었음.
(9)”내가 지금 하는 일이 제일 좋은 방법인가?”
(10)그러던 중, 우연히 한 소식을 접하게 되었음. 종이 빨대 사용이 무의미한 이유!!!!!(1)’일본은 상업적인 그래 사냥 재개를 공식화하며 (
(2)일본이 고래사냥 재개를 공식화하고, 국제포경 위원회를 탈출한 것임.
(3)바다와 고래를 좋아하던 알리에게는 정말 눈이 뒤 집힐 일이었음.
(4)플라스틱으로 죽어가는 고래들이야 어쩔 수 없다 지만, 저건 인간이 산업적인 목적으로 고의적으로 벌이는 행위라는 것.
(5)이걸 본 알리는 모든 다큐멘터리 활동을 중단하고 일본으로 가기로 결심함.
(6)그리고 가장 포경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타이 지라는 곳으로 가게 됨.
(7)포경 행위로 인하여 죽는 고래가 플라스틱으로 인 하여 죽는 고래 대비 얼마나 위협이 되는지 알아보 고자 한 것.
(8)하지만 녹록치는 않았음. 종이 빨대 사용이 무의미한 이유!!!!!(1)’이 사람들을 어떻게 내쫓지?”
(2)경찰이 수시로 감시를 하고 있었으며,
(3)42 방도 도청되고 전화도 도청돼요
(4)방과 전화 모든 것이 도청되고 있었기 때문.
(5)하지만 결국 알리는 새벽 4시에 경찰의 감시를 피 해 도주하여 취재에 성공함.
(6)(그냥 외국인이 오자 경찰이 24시간동안 감시 인 력을 붙인 셈ㄷㄷ그리고 영상 보면 알겠지만 나간 거 눈치까고 경찰들이 풀로 돌아다니기 시작함)
(7)응, 저기 있네. 뒷문으로 나가자
(8)그가 목격한 현실은 상상 이상으로 끔찍했음. 종이 빨대 사용이 무의미한 이유!!!!!(1)바다에서 거대한 포위진을 그려 돌고래들을 뭍 근 처로 유인하고, 돌고래를 가두리 양식하듯 가두고 있었음.
(2)죽이거나, 해양공원에 팔게 됨.
(3)여기서부터 의문이 하나 들기 시작할거임.
(4)’파는건 그렇다치더라도, 멀쩡한 애들은 왜 죽이는 거지?’
(5)고래는 몰라도 돌고래는 애초에 음식으로 판매되 지도 않음.
(6)방생하는게 지들이 더 편한데 왜 멀쩡한 돌고래들 을 이유없이 학살하고 있냐는거임. 종이 빨대 사용이 무의미한 이유!!!!!(1)그 질문에 대한 답은 이겁니다. ‘유해 조수 구제
(2)돌고래가 물고기를 어마어마하게 잡아먹기 때문이 라는 것.
(3)어부들은 돌고래를 경쟁 상대로 생각해요
(4)돌고래가 물고기를 너무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사 람이 먹을게 없어진다는 것이 암암리에 일본이 주 장하는 바임.
(5)여기에 반론할 수 있음.
(6)”그럼 사람이 굶어 죽게 생겼는데 돌고래가 문제 냐?”
(7)맞는 말임. 그래서 알리는 다이지 근처에 있는 기 이카쓰우라라는 지역으로 이동하기로 함. 종이 빨대 사용이 무의미한 이유!!!!!(1)3백만 달러에 딸린 적도 있습니다
(2)그리고 거기에는 가장 비싼 어종 중 하나인 참다랑 어가 말그대로 널려있었음.
(3)현재는 그 종의 3% 미만이 남아 있을 뿐이죠
(4)하지만 무분별한 남획 탓에 그 어종은 3% 미만으 로 줄어있는 상황.
(5)즉, 남획으로 줄어든 참다랑어 개체수를 돌고래 핑 계를 대면서 돌고래를 희생양 삼은 것.
(6)그래서 멸종직전까지 간 참다랑어 개체수를 꾸역 꾸역 유지하기 위해, 멸종의 원인을 돌고래로 몰기 위해 돌고래에 대한 학살을 자행함.
(7)세계최대 참치회사 중 하나카 미쓰비시 그룹 소유란 말을
(8)참다랑어 거래량의 40% 가량을 일본의 거대 회사 미쓰비시 그룹이 점유하고 있음. 종이 빨대 사용이 무의미한 이유!!!!!(1)이걸본 알리는 미쓰비시 본사에 찾아가 “돌고래를 죽이는 이유와 참다랑어 산업의 연관성”에 대해 물 었지만, 당연히 매몰차게 거절당함.
(2)그런데 여기서 알리는 흥미로운 것 하나를 또 목격 함.
(3)참다랑어 외에도 어마무시하게 남획되고 있는 종 이 하나 있었음.
(4)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도 했습니다
(5)지난 몇십 년 사이에 그 개체 수가
(6)얘네도 지금 하도 잡아대서 몇몇 종은 이미 멸종하 기 직전임.
(7)그렇게 잡아댄 샥스핀은 그럼 어디로 갔을까?
(8)- 사진도 안 해요? 안돼요 ·
(9)중국 3대 진미 중 하나인 삭스핀은 상어의 지느러미를 말린 것으로 영어로는 ‘Shark’s Fin. 중국어로는 위즈(魚)’라고 불린다. 중국에서는 귀한 손님이 오면 빼놓지 않고 사용될 정도로 귀한 식재료로 취급 된다. 상어 지느러미 요리는 맛이 연하고 부드럽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으며 특히 노인들 의 기력 회복에 좋고 식욕을 증진시켜 보양식에 쓰이는 최고급 식재료로 인정받는다. 상어 지느러미는 제비집과 함께 팔진 “(八)에 속하며 주로 연회의 두채 많이사용된다. 광동지방에는 無不 로 샥스핀이 없으면 연회라 말할 수 없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상어지느러미는 중국인들이 사랑하 는 귀한 식재료 중 하나다.
(10)국은 샥스핀의 최대 수입국 중 하나임.
(11)돈에 미친 일본이 그냥 닥치는대로 다 잡아다가 중 국에는 샥스핀, 세계에는 참다랑어를 팔아대고 있 었던 거임.
(12)그러다가 참다랑어는 멸종 직전까지 가서 본인들 잡을게 없어지니까 돌고래까지 닥치는대로 죽여가 면서 개체 수를 유지시키고 있는 셈.
(13)그렇게 알리는 더욱 조사에 박차를 가했고,
(14)’돌고래 안전’이 붙는 참치 캔을 만드는 회사 선이었고요
(15)참치 8마리를 잡기 위해 돌고래 45마리를 죽였다 는 걸 알게 됨.
(16)그래놓고 ‘ 운동 을 하
(17)안전’ 스티커를 붙여서 친환경 돌고래 덤. 건
(18)상영 후 담당자는 “나는 실질적 스 만 의도적으로 살해되는 돌고래
(19)때문에, 인증마크는 돌고래가 죽 였기 마찬가지다.” 라고 해명 과
(20)그런데 여기서 드는 의문
(21)발 참치 8마리 잡는데 돌고래가 45마 다고
(22)”뭐한 리나 죽어나감?”
(23)뿌려댐. 닥치 게 임.
(24)100% 회수되지 않음.
(25)그리고 그 그물의 상당수는 버려져서,
(26)그중 46%는 어망입니다
(27)해양쓰레기의 46%를 차지하게 됨.
(28)나오는 해 발생 부산물 하는
(29)기후 변화, 해양 ? 업하 다 그 걸려 물에 죽 려서 어 나가는 거
(30)연간 25만 마리에 달림
(31)인해 죽은 바다거북을 1,0 으로
(32)죽는 바다거북은 25만 마리 려
(33)계 틱 세 플 에서 라스 00마리로 가정하면, 그 걸 물에 미국 에서 에 달함.
(34)Would you rather, clean How will plastic straws? 부 한국인들은 있습니다.
(35)그런데 사람들은 플라스틱 빨대에 눈깔뒤집혀서 목숨걸고 있음.
(36)틱 빨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 스 쓰레 기 중 비 중 얼 이 마나 전체 플라스틱 대는 될까?
(37)OCEAN PLASTIC COMING FROM STRAWS 0.03% 0.03 대라는 사실을
(38)환경운 동 가 그런데 왜 수많 은 기업들이 플라 들과 대 따 위 목숨을 거냐? 에 스틱 빨
(39)아무도 언급하고 싶어 하지 주제였 있는 죠
(40)음… 거기서부터는 좀 불편하거든요.
(41)는 arth Island I ns.) 사용금지 등 환 운동 경 틱 세계 최대의 친환경 단체 중 하나인 지구섬협회(E 돌고래 안전 참 치캔과 플 라스 운동 경 을 하고 있고, 개인과 어업 종사자들에 전파함. 게 이 과정에서 마진을 늘리고 소비 자로 하여금 ‘착한 ‘소 비’를 하고 있 다는 착각을 부여함. 결 돈 국 은 돌 고 돌아서 지구섬 협회 그리 , 고 그 뒤에 있는 배후 의 이 을 들에게 돌아가게 되는 셈.
(42)그 때 렇기 는 철 저 마진에 타격을 주는 어망에 대해서 문에 함구하는 것 . 히 종이 빨대 사용이 무의미한 이유!!!!!(1)사람들은 플라스틱 빨대가 아닌 종이빨대를 쓰면서 환경을 위한 다는 이미지와 자신은 도덕적인 사람이다 라는 것을 즐기는 것 일뿐.
(2)실상은 별 관심 없지. 특히나 불편한 진실이라면 안 궁금해함. 기업들도 그걸 타게팅한 것이라고 봄
(3)자기네 비용 절감하고 간단히 하기 쉬운 빨대줄이기 정도로 마 케팅하는거
펌.
0.03%를 위해 소비자들이 기업이윤에 이용당하는 느낌!!!!!!!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