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혐) 한국에서 옥수수가 주식이 될수 없었던 이유

(약혐) 한국에서 옥수수가 주식이 될수 없었던 이유

(약혐) 한국에서 옥수수가 주식이 될수 없었던 이유

옥수수는 비타민 B3가 섭취되기 힘든형태로 되어있어서 옥수수를 주식으로 삼으면 반드시 펠라그라병이 오게되어있음.

남미인들은 그래서 석회수에 옥수수알갱이를 불려서 가공하거나 석회수로 삶았는데

석회수 하니까 알겠지?

한국은 석회수가 잘 안나옴.

일부 지방에서만 나오고 대부분 화산암과 화강암으로 물이 걸러져서 나오는 단물이기때문에 주식으로 삼을수가없었음.

심지어 석회수 있던 유럽에서도 저걸 몰라서 펠라그라병이 터졌는데 한국이라고 피해가겠음?

주식으로 먹었으면 ㅈ됐음.

고구마는 냉해에 약함. 4계절이 뚜렷한 한국에서 겨울에 생고구마를 저장할 수가 없고 겨울에 재배도불가능했었음.

고구마를 저장하는 방법은 썰어서 말리는 빼때기란 방식뿐이었는데 이건 손도 많이 갈뿐더러 맛도 없음.

그냥 수확해서 낱알째로 저장하면 되는 쌀과는 비교가 안됨.

그나마 감자는 추운지방에서도 잘 자라서 쌀의 대체 식량으로 많이 쓰였던 편(특히 강원도)

하지만 감자가 한국에 전파된 시기는 청나라때임. 신대륙에서 건너온 품종이다보니 늦어도 너무 늦었음

우리 조상이 병1신이라 쌀을 주식으로 먹은게 아님

족같은 한국의 4계절에서 여름가을에 생산치 맥스로 땡겨서 겨울 봄 나는게 최적의 방식이라 그걸 따랐을 뿐임

조선이 산업혁명 없었던 국가라고 똑똑한사람이 없었던게 아님

그 존나 똑똑한사람들도 쌀이 최고라는걸 아니까 쌀밥먹고 살았던거지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