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m 만 걸어도 기절하던 희귀질병 보유자 근황

5m 만 걸어도 기절하던 희귀질병 보유자 근황

다계통위축, MSA 라고 불리는 희귀질환은
파킨슨 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질병으로
환자들은 주로 50대에 발현해 치료방법도 없으며
증상 발현 3~5년 뒤면 단독보행이 불가능해지며
평균적으로 증상 발현 8~10년이면 사망함 5m 만 걸어도 기절하던 희귀질병 보유자 근황사진의 이 여성환자가 MSA 환자였으며
MSA 환자의 특징인 기립성 저혈압이 심각하게 나타났음,
특히 혈압이 떨어져 전신에 피를 보내지 못하면
몸에서 뇌에 메시지를 보내 혈압을 올리라고 해야 하는데
MSA에 걸리면 이 작용이 안되고 바로 저혈압으로 쓰러짐
병원에 입원한 채 스스로 화장실을 가려고 해도
일어나자마자 쓰러지거나
스스로 걸어가려 해도 5m 만 걸어도 쓰러진 이 환자가
스스로 걸을 수 있게 된건 척수에 전기자극을 주는 칩을 삽입한
덕분 5m 만 걸어도 기절하던 희귀질병 보유자 근황올해 스위스 로잔 연방공대에서
척수에 전극을 박아 하반신 마비 환자를 일으켜 세운 수술을 발표한
적이 있는데 5m 만 걸어도 기절하던 희귀질병 보유자 근황실제로 해당 수술 결과 5년 전 교통사고로 하반신 마비가 된
환자가
수술 당일 휠체어에서 일어섰으며 수개월만에 보행기를 이용해
걸어다닐 수 있었음, 5m 만 걸어도 기절하던 희귀질병 보유자 근황당시에는 20~40대 남성을 대상으로 한 결과를 공개했는데
그녀는 수술 후 한달만에 보행기를 이용해 50m 를 걸을 수 있게
되었고
3개월 뒤에는 250m 를 걸을 수 있게 되었으며
8개월이 지난 뒤에는 더 이상 실신하는 일이 없어짐 5m 만 걸어도 기절하던 희귀질병 보유자 근황다만 해당 수술은 기립성 저혈압으로 인한 기절만을 막아줬을

현재까지 치료가 불가능한 MSA의 본질적인 치료가 아니기
때문에
해당 수술이 추후 MSA의 다양한 증상에 어떤 영향을 끼칠 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함

이 게시물에 대해 평가 해주세요!

결과 0 참여자 0

Your page rank:

리플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