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텍스트 확인
최신
오늘의 화제
화제 모음
이수 모음
5-04-23 05.51
신고
공감확인
선거 견과
민주정의당
용입민주당
핑차민주당
후보
노태우
김영심
김대중
특표움
36.649
28.0396
27.0406
특표수
8,282,738
6,337,581
6,113,375
사실상 김영삼은 민주쪽임.
민주 진영의 편에 서서 평생올 싸윗음. 가택 구금도 당하고..
13대 대선에서 그렇게 단일화 하자고 햇으나 김대중이 거절
군정 종식올 늦춤. 74대 때에도 단일화 요구 햇으나 김대중이 거절햇음. 그래서 이레적으로 야
당 대표가 여당을 포함 3당을 합당하고 총재로 대선에 출마함. 당선 그리고 하나회 조지기 시
작. 여당도 자당 대통령이 실행하니 떠떠름하게 동의함.
김영삼이 그 전까지 9선 국회의원이/음.
그리고 [MF는 금움실명제 한 이상 어절 수 없는 예정된 수순이없음. 그 전 정부까지 돌고 돌
던 지하경제 검은돈이 막히다.
답글
10
23 05.54
신고
공감확인
선거 결과
민주자유당
민주당
입국민당
후보
김영심
김대중
정주영
특표움
41.9696
33.8296
16.31%
특표수
9,977,332
8,041,284
3,880,067
14대. 합당 안팎으면 영원히 문민정뷰 탄생이 불가.
답글
0
좀 전에 보았던 위 댓글에 잘못된 내용이 있어 글을 씁니다.
우선 13대 대선에서 YSDJ 단일화 결렬은 DJ의 일방적 거절이 아닙니다.
여러번의 협상끝에 대선주자는 YS가, 당권은 DJ가 나눠 갖기로 했으나
막판에 대권과 당권 모두를 요구한 YS에 DJ가 반발하며 협상이 결렬된것입니다.
두번째로 3당야합은 14대 대선에 이뤄진게 아닙니다.
13대 총선의 여소야대 결과에 노태우가 야당들과의 연합을 주도했고
DJ는 거절, YS와JP를 설득하여 이뤄낸게 3당야합입니다.
이에 반발하여 YS를 떠나 DJ의 평민당으로 당적을 옮긴 사람이 노무현 당시의원이였구요.
그후 치뤄진 14대 대선에선 DJ와YS의 단일화 이슈는 없었다는걸 바로 잡고 싶습니다.
두 사건(
다양한 평가는 가능하다 생각하지만
사실관계에 대한 왜곡은 없었으면 합니다.
모바일로 쓴 두서 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