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텍스트 확인
각 세션 주제는 ‘상급종합병원과 지속가능한 전달체계’ ‘전공의 없는 대학병원, 현재와 미래’ ‘진료지원간호사 제도
화’ ‘급변하는 의료환경 속 환자중심간호름 위한 미래간호 발전방향’ ‘전공의 수련제도 확 바꿀 수 있는가’ 등의로 의
정사태와 맞물려 파생된 의료현장의 변화에 대해 집중 조명하는 세선이 중심축올 이뤄다.
의정사태 여파로 전공의들이 집단사직한 지 1년 2개월. 수련병원들은 전공의 없는 의료환경이 뉴노얼로 완전히 정
착햇다
지난해 상반기까지만해도 전공의 공백으로 수술실과 병동이 멈추면서 발울 동동 물렇지만 PA간호사 등 진료지원인
력올 적극적으로 투입하고 상당부분은 의사업무의 디지털화루 적극 도입하면서 말 그대로 ‘전공의 없이도 문제가
없는 병원’으로 전환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각 수련병원이 이미 전담간호사루 중심으로 의료시스템올 구축하고 그에 필요한 교육올 통해
일정 수준이상의 역량울 갖춘 간호인력올 양성햇다는 점이다
다시말해 과거 전공의 업무의 상당 부분올 전담간호사로 대체되다는 얘기다: 실제로 패널토의에 나선 복수의 패널
들은 “전공의가 없어도 병원 운영에 크게 지장이 없올 정도로 시스템이 구축차다”고 입을 모앉다.
한 대형 대학병원장은 “더 이상 전공의 복귀 여부에 관심없다”면서 “현재 의로환경에서 병원 운영올 고민할 뿐”이
라고 말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이후 전공의가 복귀하더라도 전문의 중심병원으로 전공의는 수련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월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있다.
다만 전공의 수련 기간이 ‘노동’ ‘근로’ 개넘이 희미해지면서 ‘피교육자’ 신분이 짙어짓올 때 급여 지급에 대한 추가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되다
수도권 대학병원장은 “지난 1년여 시간동안 많은 것이 변있다”라며 “앞으로 하반기까지 상태가 지속월 경우 전문
의-전담간호사루 주축으로 한 시스템은 더 안착되 것”이라고 내다랗다.
전공의 1만명 없어도
Pa간호사로 전부 업무매꾸고 대체함
이제는 일반의들 집중타격해서 gp로 있기는 외롭다는걸 가르쳐주면됩니다
별로 의미없는인력임 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