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주도한 김치산업 국제표준,
지난 24일 ISO 인가 얻으며 탄생
2017년부터 쓰촨성 메이산시 주도
중국 김치산업이 국제시장 기준 의미
한국 전문가는 표준 제정에 불참
중국이 주도하는 김치산업 국제표준이 지난 24일 정식으로 탄생했다고 중국 환구시보環球時報가 중국 시장의 감독관리 사항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중국시장감관보中國市場監管報’의 지난 26일 보도를 인용해 28일 전했다.
환구시보는 이번 김치산업 국제표준은 중국이 주도해 제정한 것으로, 쓰촨四川성 메이산眉山시 시장감독관리국이 책임지고 이끌었다고 밝혔다. 또 중국이 국제표준화기구ISO의 틀 속에서 김치산업의 6개 식품 표준을 제정했다고 말했다.
ISO는 각종 분야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국제적 교류를 용이하게 하고 상호 협력을 증진하는 걸 목적으로 하며 관방 기구는 아니다. 1946년 설립돼 현재 165개의 회원국이 있으며 중국은 ISO의 상임이사국이다.
환구시보에 따르면 중국은 국내 김치산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쓰촨성 메이산시의 주도로, 지난 2017년 4월 김치산업의 국제표준 제정 작업 추진에 나섰다. 이 작업은 중국 국가표준위원회와 중국표준화연구원, 중국식품발효공업연구원의 협력이 따랐다.
2019년 3월엔 중국과 터키, 세르비아, 인도, 이란 등 5개 회원국 전문가가 참여하는 김치 국제표준 항목을 안건으로 채택했고, 3개월 후인 6월엔 ISO 식품제품기술위원회의 과일과 채소 및 파생 제품 분과위원회에서 투표를 통해 정식 안건이 됐다.
이후 1년여 동안 제안 단계NP →위원회 초안 단계CD →초안의 의견을 구하는 단계DIS →비준 단계FDIS 등 여러 단계에서 투표와 각 회원국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한 끝에 ISO 24220 김치염장발효야채 규범과 시험방법 국제표준’이 형성됐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지난 24일 이 국제표준이 ISO에서 2개월에 걸친 투표 끝에 최종적으로 인가를 얻었다고 밝혔다. 환구시보는 이것이 가지는 의미는 중국의 김치산업이 국제 김치시장에서의 기준이 된 것 이라고 설명했다.
또 중국의 김치산업에 대한 기술표준이 세계적인 인정을 받은 것 이라고 말했다. 중국 김치생산의 일부 표준 계수가 김치산업의 국제 표준의 일부분이 되고 김치업계는 이 같은 표준에 따라 김치를 생산하게 된다고도 말했다.
한마디로 중국 김치가 국제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영향력이 크게 향상돼 중국의 김치산업이 더욱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환구시보는 한 가지 주목할 건 김치 종주국’을 자부하는 한국의 전문가가 표준 제정에 참여하지 않은 점 이라고 밝혔다.
환구시보는 그러면서 지난 2017년 한국의 김치무역은 수입이 수출의 10배나 되는 등 한국은 김치 적자국이라고 지적했다. 또 한국이 소비하는 김치 중 35%를 수입에 의존하는 데 수입 김치의 99%가 중국산 이라고 말했다.
환구시보는 당시 한국 언론이 이 같은 현실을 두고 “김치 종주국의 굴욕”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환구시보는 특히 이날 중국 주도로 김치산업 국제표준 제정, 한국 언론 폭발: 김치 종주국 굴욕’ 이라고 제목을 뽑아 한국을 자극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또 한국은 2018년 김치산업 진흥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2016년 당시 65% 수준인 김치 자급률을 2022년까지는 70%로 끌어올리는 등 가격과 품질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으나, 최근 배추가격이 지난해 비해 40%가 뛰며 곤란한 상황에 빠져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오히려 원활한 김치 공급을 위해 중국으로부터의 김치 공급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어 중국산 수입 김치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3.4%나 오른 상태라고 보도했다
더러운 짱꺠 새끼들
핵폭탄 한 5개만 떨어뜨리면 좋겠다